Synology NAS 외부접속
DSM 설치와 보안세팅이 끝났으므로 포트포워딩을 하여 외부접속을 시도할 차례다
해당 글은 KT 공유기를 기준으로 진행되었으며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에 따라 포트포워딩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포트포워딩
포트를 포워딩한다고 해서 포트포워딩이라고 한다
외부에서 내부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공인 IP로 접속요청을 해야하는데 간단하게 설명해보면
공유기에서 할당한 내부망 네트워크 주소가 이렇게 돼있다 치고
PC1 : 192.168.0.3
PC2 : 192.168.0.4
PC3 : 192.168.0.5
NAS : 192.168.0.6
내부망 주소(192.168.0.x)가 아파트의 동/호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우리는 NAS라는 192.168.0. 동의 6호를 가기를 원한다
그렇다면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어떻게 접속해야 할까?
동/호만 알고있다고 어디 사는지 추정이 불가하듯이
어떤 동네에서 살고있는지 정확한 주소를 알면된다 대한민국 OO시 OO구 OO동까지 이부분을 공인 IP라고 보면된다
공인 IP(광역주소)로 접속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IP와 포트(동/호)를 지정하여 포워딩해주는게 포트포워딩이다
'example.synology.me:지정한 포트'는 공인 IP를 DNS로 바꾼것이고
실제 요청시에는 '공인IP:지정한 포트'로 요청을 하는것이다
공인 IP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간단한건
네이버에 그냥 '나의 아이피 주소'라고 적으면 공인 IP가 나온다 (NAS 네트워크 설정시 볼 수 있기도 함)
더 자세하게 이야기하면 길어지므로 나중에 따로 다뤄보겠다
포트포워딩 설정
KT 기준 172.30.1.254(게이트웨이 주소)로 접속하면 공유기 관리자 로그인 화면이 보인다 [CMD ipconfig 확인]
(이때 컴퓨터, NAS가 같은 공유기에 물려있어야한다)
초기 ID/PASSWORD는 ktuser/homehub로 돼있으니 로그인하여 초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바꿔주자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
로그인 후 > 장치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포워딩 설정
우리가 신경써야할 부분은
외부포트, 내부 IP주소, 내부포트, 프로토콜이다
외부, 내부포트 : DSM 로그인 포털에서 바꿨던 포트를 작성
내부 IP주소 : NAS 주소
프로토콜 : TCP
설명 : 나중에 SSH나 FTP등 사용구분을 위해서 알아보기 쉽도록 임의로 작성
SSH나 FTP, SMB 등 다른 서비스도 같은 방법으로 포트를 열어주면된다
이렇게 아래에 추가되면 완료
이제 외부에서 접속 테스트를 해본다
핸드폰 LTE로 접속해보는게 가장 빠르고 쉽다
마무리
초기화, 세팅, 외부접속까지 모두 완료했다 다음엔
DSM에서 지원하는 패키지인 로그센터, AntiVirus, 저장소 분석기 등을 활용해보쟈
'Experience > Synology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NAS] 스냅샷 활용하기 (랜섬웨어, 파일손상 예방) (0) | 2023.07.04 |
---|---|
[Synology NAS] 클라우드 사진 저장 활용, 후기 (0) | 2023.05.24 |
[Synology NAS] 로그인 OTP 설정 (0) | 2023.05.23 |
[Synology NAS] 보안세팅 (0) | 2023.05.23 |
[Synology NAS] 초기화 및 설치하기 (DS220+) (0) | 2023.05.23 |